도이장가(悼二將歌)
페이지 정보
작성일 23-01-01 00:55
본문
Download : 도이장가(悼二將歌).hwp
_hwp_01.gif)
_hwp_02.gif)
_hwp_03.gif)
_hwp_04.gif)
_hwp_05.gif)
_hwp_06.gif)
설명
다.
여기서는 작품의 해독해 보고 그 제작경위, 내용, 형식에 대해 알아보겠다.
레포트/인문사회
,인문사회,레포트
1.서론
<도이장가>는 신숭겸의 행적을 기록해 놓은 <평산신씨고려태사장절공유사(평산신씨고려태사장절공유사)>에 사운일절(사운일절)의 한시에 이어 단가이장(단가이장)이라 한 다음 이두식 표기로 되어 있다아 여요(여요)는 60여편(유전(유전)·부전(불전)을 포함해서)중에서 확실한 작가가 전하는 것이 14편이고, 현존가요(현존가요) 중에서 예종(예종), 정서(정서), 안축(안축)만이 전하고 있다아 그런데 이 작품은 작가·원가·연대와 작품 창작경위까지 알 수 있으며 고려 16대 예종(예종) 15년(서기 1120년)에 이두표기로 창작되었다는 점에 시가문학사에서 의의가 크다. 도이장가 , 도이장가(悼二將歌)인문사회레포트 ,
Download : 도이장가(悼二將歌).hwp( 54 )
도이장가(悼二將歌)
순서
도이장가
도이장가에 관한 글입니다.
2.어구해석
<평산신씨고려태사장절공유사(평산신씨고려태사장절공유사)>는 삼국유사(삼국유사)나 균여전(균여전)에서와 같이 자간을 떼어 경계를 표시하지 않기 때문에 도이장가의 분절은 해독자의 적극적인 인식에 속한다 김완진
주을완호백호/ 심문제천을급곤/ 혼시거사의/ 중삼오사교/ 직마우욕/ 망미아리자급피/ 가이공
신량/ 구내직은적오은현호사정
지헌영
주을완호백호심문/ 제천을급곤/ 혼시거사의중/ 삼오사교/ 직마우욕망미아리자급피가/ 이공신
량/ 구내직은/적오은현호사정
양주동
주을완호백호/ 심문제천을급곤/ 혼시거사의중/ 삼오사교직마우욕/ 망미아리자/ 급피가이공
신량/구내직은/적오은현호사정
유창균
주을완호백호/ 심문제천을급곤/ 혼시거사의/ 중삼오사교직마/ 우욕망미아리자/ 급피가이공신
량구/ 내직은적오은/ 현호사정
…(To be continued )
도이장가에 관한 글입니다. 특히 도이장가는 고려시대에 이두로 쓰여진 작품이기 때문에 이 시가를 어떤 장르에 귀속시켜야 할지 논란이 되는데, 이 문제에 관한 여러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나름대로의 견해를 제시하겠다. <평산신씨고려태사장절공유사>에 노래가 실려있고, <고려사>권14, <명신행적>, <대동운부군옥>등에 창작경위가 전한다.